M Cast
마이센(Meissen) 도자기의 제작연도 측정표
세계적으로 유명한 마이센의 "교차된 검(Crossed Swords)" 로고
2025.03.06
마이센(Meissen, 1710-) 도자기는 최초의 유럽산 경질자기(Hard-Paste Porcelain, 단단하면서도 얇고 두드리면 맑은 소리를 내는 자기)였다. 유럽에서는 경질의 자기를 18세기 초반까지 만들지 못하다가 독일의 마이센 지방의 가마에서 경질의 자기를 태토인 카올린(Kaolin, 고령토)를 발견하여 경질의 자기를 만드는데 성공하였다. 마이센 도자기는 18세기 중반까지 최전성기를 누렸으며 도자기의 형태와 디자인에서 혁신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세계 2차 대전 이후와 독일 통일 이후 새로운 방식의 생산라인을 확립하였고 독일 통일 이후에는 주립 도자기 제작소로 바뀌어 지금까지 자기를 생산하고 있다. 유럽 도자기 브랜드 마이센(MEISSEN)은 1710년부터 현재까지 높은 장인 정신을 바탕으로 수준 높은 제품을 선보이고 있는 유서 깊은 브랜드이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마이센의 "교차된 검(Crossed Swords)" 로고
"교차된 검(Crossed Swords)"는 마이센 국립 도자기 공장(Meissen State Porcelain Manufactory)의 상징적인 상표(trademark)이다.
마이센의 아르카니스트(arcanist, 도자기 제조 비법을 알고 있는 사람) 사무엘 슈텔첼(Samuel Stöltzel, 1685-1737)이 빈(Vienna)으로 도망하여 비밀을 유출하자 유럽에서 두 번째 도자기 공장이 빈에 설립되었다. 초기에는 모든 빈 도자기 제품이 마이센을 모방하여 제작되었다. 이에 대응하여, 당시 마이센 도자기 공장의 감독관(inspector)이었던 요한 멜히오르 슈타인브뤼크(Johann Melchior Steinbrück, 1668-1723)는 1722년 11월, "교차된 검" 문양을 마이센 도자기의 정품 인증 마크로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마이센 도자기의 정품을 식별하기 위해, 마이센은 초기에는 손으로 그린 마크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곧 언더글레이즈 블루(Underglaze blue)로 소성된 마크를 개발하였고, 1720년에 도입 후 1731년부터는 공식 칙령에 따라 지속적으로 사용되었다.
초기의 마크로는
- AR(Augustus Rex) – 국왕 아우구스투스의 모노그램
- K.P.M.(Königliche Porzellan-Manufaktur) – 왕립 도자기 제조소
- M.P.M.(Meissener Porzellan-Manufaktur) – 마이센 도자기 제조소
- K.P.F.(Königliche Porzellan-Fabrik) – 왕립 도자기 공장
등이 있었으나, 이후 작센 선제후가 신성 로마 제국의 대원수(Arch-Marshal)였던 것에서 유래한 "교차된 검(crossed swords)" 로고로 대체되었다.
교차된 검(Crossed Swords)은 1722년부터 마이센 도자기의 뛰어난 품질을 상징해왔다. 현재에는 오직 두 명의 숙련된 ‘검의 장인(swordsmen)’만이 마이센 도자기에 이 마크를 그릴 수 있다.

마이센의 로고에는 세부적인 변형이 있어 도자기의 제작 연대를 대략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1720 _ AR - 아우구스투스 렉스(Augustus Rex)
이 마크는 마이센 도자기에 표시된 "AR" 마크를 의미하며, 아우구스투스 강왕(Augustus the Strong,1670-1733) 또는 그의 아들 아우구스투스 3세(Augustus III, 1696-1763)를 가리킨다. 그러나 이 마크는 공장 마크(factory mark)라기보다는 소유권을 나타내는 표시에 가깝다.
즉, 이 두 군주의 소유로 제작된 도자기에만 사용되었다.

1722
교차된 검(Crossed Swords)은 1722년부터 마이센 도자기의 뛰어난 품질을 상징해왔다.

1723-1725 _ KPM - 왕립 도자기 제조소(Königliche Porzellanmanufaktur(Royal Porcelain Manufactory))
"KPM" 마크는 1723년부터 1725년까지 사용되었다. "교차된 검(Crossed Swords)"과 함께 사용될 경우, 이 마크는 아우구스투스 강왕(Augustus the Strong)이 작센 선제후(Saxon Elector)와 폴란드 국왕(King in Poland)의 이중 지위를 가지고 있었음을 상징한다.

1763-1774
한 개 이상의 점이 검 사이, 옆 또는 검 위에 추가되기 시작한 것은 이미 1740년대부터였다. 검 손잡이(힐트) 사이에 한 개의 점이 있는 마크는 대략 1763년부터 1774년까지 비교적 흔하게 사용되었다.

1774-1815
1775년 1월 4일자 서한에서, 마이센 도자기 제조소의 감독관이었던 마르콜리니 백작(Count Marcolini)은 "자신의 감독하에 제조된 '제품들'이 앞으로 작은 별 표시로 마크되며, 선제후의 검(Electoral Swords) 바로 아래에 이 표시가 추가할 것"이라고 명령했다. 따라서 1774년 8월 20일 마르콜리니 백작이 제조소의 ‘최고 감독관(Chief Director)’으로 임명된 지 몇 개월 만에, 후에 ‘마르콜리니 마크(Marcolini mark)’로 알려지게 된 이 마킹이 마이센에서 도입되었다.

1815-1924
추가적인 표시 없이 가파른 곡선 형태로 그려지고 위쪽에서 교차하며, 폼멜(칼자루의 둥근 끝부분)이 이전보다 더 뚜렷하게 표현된 검 마크는 대략 1815년부터 1924년까지 마이센의 상표로 사용되었다.

1924-1934
"파이퍼 마크(Pfeiffer mark)"는 1924년, 막스 아돌프 파이퍼(Max Adolf Pfeiffer) 총책임자의 지휘 아래 도입되었다. 이 마크에는 안쪽으로 휘어진 칼에, 폼멜(칼자루의 둥근 끝부분) 없이 칼 끝 상단에 하나의 추가적인 점이 있었다. 이 표식에서는 이전까지 마이센 마크의 특징이었던 개성이 사라졌다. 이제 칼 모양은 정확하고 균일하게 디자인되었으며, 크기 면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더 이상 제작 방식에 따른 변형이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1934부터
1934년부터 검 마크에는 추가적인 표시가 없이 그려졌다. 검은 대략 중앙에서 교차했으며, 칼날의 끝이 반대편 검의 손잡이 가드(Cross-Guard, 칼날에 직각으로 붙은 날밑) 끝과 거의 수직으로 배치되었다.

1945-1947
이 짧은 기간 동안, 제조소 제품에는 칼 손잡이 사이에 작은 아치(arc)가 추가되었지만, 칼자루(hilt)에는 닿지 않도록 디자인되었다. 이 마크는 당시 마이센 도자기 제조소의 감독관이었던 헤르베르트 노이하우스(Herbert Neuhaus)의 이름을 따서 ‘노이하우스 아크(Neuhaus arc)’라고 불렸다. 헤르베르트 노이하우스는 1921년부터 마이센에서 도자기 화가로 활동했으며, 1945년 5월 15일에 감독관으로 임명되었다.

1972년 부터
파란색이 교차된 검 문양은 1972년부터 현재 공식적인 표기 방식인 “Meissen”과 결합되었다. 이는 도시 이름을 국제적으로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표기 형태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Meißen”과 다르다. 여기서 “ß”는 실제로 이중 “s”를 의미하지만, 다른 언어에서는 “B”로 오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의 마이센 마크
마이센의 모델 넘버 부여 방식의 예

자료 사진
https://www.metmuseum.org/art/collection/search/188553
https://www.porzellan-museum.com/en/things-to-discover/blue-swords/
https://meidabank.de/en/model-numbers
https://meidabank.de/de/examples
https://www.sothebys.com/en/buy/auction/2021/sammlung-oppenheimer-important-meissen-porcelain/a-meissen-k-p-m-oval-sugar-box-and-cover-circa
COLLECTION







